출처-월간탁구
▶서브 +1 | |||||||||||||||||||||||
| |||||||||||||||||||||||
|
▶서브 +2
▶ 커트 서브는 네트 가까이에 떨어지게 하는 것이 요령
▶ 손목을 사용해 재빠르고 날카롭게 임팩트한다.
▶ 백 핸드 셰이크라면 볼의 밑부분을 날카롭게 커트할 수 있다.
▶ 횡회전 서브는 몸 앞에서 볼을 당기는 느낌으로!
▶ 백 핸드의 횡회전 서브는 손목의 회전을 충분히 이용한다.
▶ 서브 에이스를 노리기 보다는 오히려 3구째 공격을 기다려라
▶ 너클 볼은커트 서브의 '숨은 매력'이다.
▶ 볼을 밀어낸다 하더라도 스윙은 재빠르고 정확해야 한다.
|
▶서브 +3
▶ 볼의 낙하속도를 이용한 강력한 하이토스 서브에 도전하자!
▶ 토스 컨트롤이 공격을 성공시키는 열쇠
▶ 포어 핸드를 다듬자
▶ 같은 자세로 포어.백, 양면으로 칠 수 있는 웅크린 자세의 서브
▶ 얼굴 옆에서 마음껏 공에 횡회전을 준다.
▶ 검지손가락을 댄 라켓 면으로 임팩트할 수 있다.
▶ 더블 서브(복식경기 시의 서브)는 센터라인에서 센터라인으로
▶ 왜 센터라인을 노리는 것이 효과적인가를 생각해보자
실전에 대비하여 랠리 연습도 중요하지만 그 이상으로 서브 연습에 많은 시간을 들이기 바란다. 실컷 치고받은 랠리 끝에 1득점하는 것이나 서브 에이스로 1득점 하는 것이나 득점으로서는 같다. 그렇다면 서브 기술을 연마하여 선제공격으로 상대를 침몰시키는 방법을 생각하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 실제로 게임에서는 서브 에이스와 3구째 공격으로 포인트를 올리는 비율이 약 40% 정도나 된다. 탁구에서 서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것으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서브의 숙달을 위한 몇가지 응용 테크닉을 마스터해 보자. 모두 실전에 당장 도움이 되는 것들이다. TECHNIQUE 1 같은 동작으로 코스를 나누어 친다 포어 핸드와 백 핸드, 어느 쪽으로도 크로스와 스트레이트 코스를 칠 수 있는 것이 서브의 제 걸음. 하지만 자세나 스윙으로 적에게 미리 타구 코스를 알려주면 아무 소용이 없다. 대기 자세에서 임팩트 까지는 같다. 임팩트 때의 손목의 회전과 팔로우 스로에 걸친 허리회전으로 코스를 컨트롤하는 것이다. TECHNIQUE 2 쇼트와 롱을 섞어친다 사람의 눈은 좌우의 변화 보다도 앞뒤의 변화에 반응하기가 힘들다. 좌우로 나누어 치는 것도 물론 필요하지만 그 이상으로 효과적인 것이 쇼트와 롱을 적당히 섞어 상대를 앞뒤로 정신없이 움직이게 만드는 것이다. 당연히 이것도 같은 동작으로 칠 수 있게 된다면 보다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ECHNIQUE 3 상대의 라켓 면을 무너뜨린다 상대가 대기하고 있을 때의 라켓 각도를 자세히 보자. 라켓 면이 위쪽을 향하고 있으면 드라이브 서브, 아래쪽을 향하고 있으면 하회전 서브를 보낸다. 그렇게 하면 리시브 미스를 유도하기가 쉽다. 같은 원리로 상대의 라켓 면이 몸 안쪽을 향하고 있으면 좌횡회전 서브, 바깥쪽을 향하고 있으면 우횡회전 서브를 보내도록 한다. TECHNIQUE 4 팔로우 스로에 변화를 준다 타구방향에 자연스럽게 볼을 보내면 가장 좋은 팔로우 스로가 되지만 너무 정직한 팔로우 스로는 상대가 노리는 바를 이루어 주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일부러 타구방향과는 반대로 라켓을 들고 해보자. 상대는 완전히 속고 말 것이다. TECHNIQUE 5 임팩트의 타이밍을 바꾼다 보통 서브 후 리시브를 준비하는 0.2초 후가 가장 집중력이 높아진다고 한다. 바로 이 타이밍을 흐트러뜨려서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브할 때 볼 던지는 높이를 바꿔 임팩트의 타이밍에 변화를 주도록 한다. 초보자는 이 부분을 체크하라! 1) 임팩트 순간, 볼을 누르고 있지는 않은가? 앞에서도 말했듯이 '누르는' 것이 아니라 '자르는' 것이 중요. 눌러버리면, 예를 들어서 낮은 타점으로 임팩트해도 높이 떠버리는 서브가 되고 만다. 2) 라켓의 손잡이 쪽으로 임팩트하고 있지는 않은가? 날카롭게 스윙하고 있는데도 아무래도 볼이 뜻대로 되지 않는 사람은 러버의 어디로 볼을 치고 있는지 살펴보자. 반대로 의식적으로 약하게 커트된 서브를 보내고 싶을 때는 손잡이 가까운 부분으로 임팩트하면 된다. 3) 커트한 볼을 바닥 위로 바운드해 보자. 강하게 커트된 볼은 자기쪽으로 되돌아온다. 정확히 역회전이 걸려 있지 않으면 비스듬히 꺾여서 돌아오기 때문에 금방 알 수가 있다. |